U Day Seoul 후기
U Day Seoul
2024년 5월 22일, 유니티 엔진 관련 다양한 주제를 다룬 U Day Seoul에 참석하였습니다., 게임 개발자와 엔지니어들이 모여 경험과 지식을 들어볼 수 있었습니다. 아래는 주요 강연 내용과 인상 깊었던 포인트들을 정리한 후기입니다.
Unity 6, 그 이후: Unity 엔진 및 서비스 로드맵
유니티가 MR(혼합 현실) 콘텐츠 개발을 어떻게 지원하는지 설명했습니다. 폴리 스페이셜은 유니티와 애플 리얼리티 킷을 연동해 렌더링 정보를 전달하며, 기존 개발자들이 쉽게 비전OS용 MR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습니다.
Unity 6과 함께 모바일, VR, PC, 콘솔에서 고화질 그래픽 구현
VFX 그래프와 새로운 조명 및 물리적 충돌 시스템의 개선을 다룬 강연에서는 성능 최적화와 사실적인 시각적 효과 구현에 대해 설명했습니다. 특히, 새로운 6-way 라이팅과 적응형 조명 시스템을 통해 게임 내 환경 효과를 개선할 수 있었다는 내용이 기억나네요.
Dave, a 2D-Diver in a 3D-Land - 데이브 더 다이버 포스트모템
2D 캐릭터와 3D 오브젝트 간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기술적 도전과 해결 과정을 공유한 강연이었습니다.
콜라이더의 문제와 2D-3D 혼합 환경에서의 자동화 시스템 개발을 통해 게임의 퀄리티와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습니다
인디게임 산나비 포스트모템
게임 개발에서의 실패와 개선 과정을 솔직하게 나눈 강연이었습니다. 조작감과 스토리텔링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며, 유저 피드백을 반영한 지속적인 개선의 필요성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.
Unity Sentis 상세 기술 설명과 게임 콘텐츠 적용 튜토리얼
센티스(Sentis)는 온디바이스 AI 추론을 지원하는 유니티의 엔진으로, 서버 없이 로컬에서 AI 모델을 실행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. ONNX 포맷을 활용하여 다양한 플랫폼에서 AI 기능을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.
모바일과 XR을 위한, URP 쉐이더 그래프 튜토리얼
셰이더 그래프를 활용하여 장면 전환 효과를 구현하는 과정이 흥미로웠습니다. 디졸브와 트라이플랜 효과를 실습하며, 셰이더 그래프의 직관적인 사용법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.
마무리
이번 U Day Seoul에서 유니티의 최신 기술과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해 많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. 게임 개발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배운 기회가 되었고, 앞으로 유니티의 기능들이 게임 개발과 콘텐츠 제작에 어떻게 혁신을 가져올지 기대되네요.
기념품으로 티셔츠를 받았습니다.